728x90

전체 글 554

👀도어대시와+ 페이스북이 힘을 합쳐요!

안녕하세요 테크스낵입니다. 제가 Tech snack 이라는 웹사이트 운영을 시작 했어요! 이제 블로그에서는 각각 아티클의 핵심만 요약해서 전달 해 드릴 예정인데요. 링크를 클릭 하시면 해당 아티클의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. 물론 더 더양한 글들도 많이 있고요! Snack's Top 3 1. DoorDash(도어대시)와 Facebook(페이스북)이 딜리버리를 위한 파트너쉽을 체결 했어요. 페이스북에는 스토어 개념의 Marketplace(마켓플레이스)가 있는데요. 마켓플레이스에서 발생한 온라인 주문건을 도어대시가 딜리버리 해주는 것이 이번 파트너쉽의 핵심이에요. 이번 파트너쉽은 경쟁 상황에서 살아 남아야하는 두 회사모두에게 의미가 있는 파트너쉽이에요. 2. 현대자동차와 Lyft(리프트)가 미국 라스..

Trending/빅테크 2022.09.01

👀Meta(메타) : 크리에이터 분들! 돈 더 벌어가세요!!

더 다양한 토픽과 업데이트는 테크스낵에서 확인 하세요! Meta(메타)가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수익화 수단을 추가 한다고 해요. ☕어떻게 추가하는거야? 기존 옵션 확대 + 새로운 옵션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수익화 수단을 추가 했는데요. 먼저 기존 옵션을 확대 적용 시킨 케이스 부터 살펴 보면요: Reels Bonus : 지난 해 9월 부터 메타는 영향력 있는 크리에이터들의 릴스 이용률을 증가 시키기 위해 보너스 지원 프로그램인 Reels Play Bonus 프로그램을 시작 했는데요. 릴스 보너스 프로그램을 이용 할 수 있는 Facebook(페이스북) 크리에이터를 확대 한다고 해요. 그리고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인스타그램에서 릴스를 업로드 할때 페이스북에도 같이 업로드(cross-post) 할 수 있도록 지..

Trending/빅테크 2022.06.27

🚗Cruise(크루즈) : 유료 로보택시 서비스 시작!

더 다양한 토픽과 업데이트는 테크스낵에서 확인 하세요! Cruise(크루즈)가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서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유료 로보택시 서비스 제공을 시작 한다고 해요. 🍳무슨 소식이야? 6월 첫 째주 크루즈는 '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'의 유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종 허가권을 취득 했는데요. 이제 드디어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'유료' 서비스 운영을 시작한다고 해요 : 유료 서비스는 밤 10시 ~ 아침 6시 까지만 운영 할 수 있다고 해요. 물론 지정된 지역 내에서만 이용 가능한데요. 시간/지역 제한은 확장을 위한 통과 단계라고 해요. 규제기관과 크루즈 모두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운영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으니까요. ○○테크스낵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고싶다면?! : 💨테크스낵 뉴스레터 구독하기!

🚜DoorDash(도어대시) : 캐나다에서 30분 배송 시작!

DoorDash(도어대시)가 캐나다에서 식료품 30분 배송 서비스를 시작 한다고 해요. 🍳무슨 소식이야? 30분 배송 서비스를 위해 캐나다 최대 규모의 리테일러인 Loblaw(로블로)와 협업 한다고 하는데요. 30분 배송 서비스의 이름은 PC Express Rapid Delivery로 올해 8월부터 운영될 예정이에요 : 약 8,000개의 로블로 제품을 로블로 + 도어대시 플랫폼에서 주문 할 수 있다고 해요. 30분 배송을 위해 도어대시는 다크 스토어를 운영할 예정이고요. 주문이 접수되면 -> 도어대시 긱워커들이 다크 스토어에서 주문을 패킹해 -> 30분 배송을 완료하는 프로세스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해요. +TMI) 다크스토어는 매장 없이 창고만 있는 유통 형태를 말해요. 규모가 큰 물류 센터와 달리 도심..

✅빅테크 기업들의 1초 당 수익은 얼마일까!?

Business Insider(비즈니스 인사이더) 기사에 따르면요, 미국의 유명 빅테크 기업들이 1초당 1,000달러 이상의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해요. 🍳무슨 소식이야? 핀테크 소프트웨어 회사인 Tipalti라는 회사가 2020년 테크 기업들의 연간 이익을 초 단위 이익으로 계산해 봤다고 해요 : 1st : Apple(애플)의 초 단위 이익이 가장 높다고 하는데요. 2020년에 애플은 1초당 약 1,752 달러를 벌었다고 해요. 미국 풀타임 근로자의 주당 임금보다 높은 숫자라고 하네요. 2nd : 2등은 Microsoft(마이크로소프트)에요. 2020년 마이크로소프트의 1초당 이익은 약 1,244 달러였다고 해요. 3rd : 3등은 Alpabet(구글)인데요. 1,089 달러의 초당 순이익을 기록 ..

Trending/빅테크 2022.06.26

🛒Twitter(트위터) : 이커머스 기능, Shopify(쇼피파이)랑 협업!

Twitter(트위터)가 Shopify(쇼피파이)와 파트너쉽을 발표 했어요. 당연히 목적은 트위터 내 이커머스 기능 강화를 위한 것이고요. 🛒어떤 파트너쉽이야? 이번 파트너쉽으로 쇼피파이 솔루션을 사용하는 브랜드들은 트위터내 비즈니스 프로필에 상품을 등록하고 노출 시킬 수 있다고 해요 : 현재 까지 트위터의 이커머스 관련 기능은 대부분 비즈니스 프로필 페이지에 집중 되어 있어요. 비즈니스 프로필 내에서 Shop Spotlight(샵 스포트라이트)와 Twitter Shops(트위터 샵)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는 것 인데요. 쇼피파이 브랜드들도 이 두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다고 해요. 샵 스포트라이트를 통해 프로필 페이지 메인에 소수의 상품을 노출 시킬수 있고요. View shop 버튼을 통해 노출되는 트위..

Trending/플랫폼 2022.06.26

💌Twitter(트위터) : Notes(노트) 기능 출시! 롱-폼 트윗 가능!

Twitter(트위터)가 긴 글 작성을 위한 long-form 트윗 기능 Twitter Notes(트위터 노트)를 출시 했어요. 🍳무슨 소식이야? 노트 기능의 핵심은 트위터 내에서 아티클 형식의 긴 글을 작성 할 수 있다는 것 인데요. 현재 한 개의 트윗에 작성 할 수 있는 글자수는 제한이 있어요. 최초 140글자에서 280글자로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글자수 때문에 긴 트윗을 작성하기 힘들었던 것 인데요: 스레드 : 글자 수 제한 때문에 업로드된 트윗과 관련된 추가 의견을 업로드 한 유저가 덧 붙이기 위해서는 주로 트위터 스레드(댓글)로 진행이 되어왔고요. 스크린샷 : 280글자를 초과하는 트윗을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노트앱 등 다른곳에 글을 작성 한 후에 화면을 캡쳐해서 업로드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어..

Trending/플랫폼 2022.06.26

🚜Walmart(월마트) : 캐나다에서 인스타카트랑 협업!

Walmart(월마트)가 Instacart(인스타카트)와 협업 해서 Walmart Now(월마트 나우)라는 이커머스 서비스를 론칭 한다고 해요. 일단은 파일럿 서비스라고 해요. 🍳무슨 소식이야? 월마트 나우는 캐나다 토론토 지역을 대상으로만 운영될 예정인데요. 서비스 운영을 위해서 지난 3월 인스타카트가 출시한 Instacart Platform(인스타카트 플랫폼)을 이용할 예정이라고 해요 : 월마트 나우는 편의점과 비슷한 컨셉이라고 해요. 월마트 나우를 통해 약 4,000개의 품목을 구매 할 수 있다고 하고요. 이 4,000개 품목은 월마트 나우에서 구매할 수도 있고 인스타카트 앱에서도 구매 할 수 있다고 해요. 주문 상품 패킹 -> 배송 모두 인스타카트에서 담당하는데요. 주문 후 30분내에 배송을 완료..

👀광고 기반 구독자 비중이 가장 높은 OTT는?!

전체 구독자 대비 ad-supported(광고기반) 구독자 비중이 가장 높은 미국 OTT는 NBCUniversal이 운영하고 있는 Peacock(피콕)이라고 해요. 🍳무슨 소식이야? 피콕의 전체 구독자중 약 73%가 광고 기반 저가 티어(tier) 구독자라고 해요. 2등은 Pramount+(파라마운트+)인데요. 광고 기반 저가 티어 구독자 비중이 약 64%라고 해요. 광고 티어 구독자 비중이 가장 낮은 OTT는 Hbo Max인데요. 전체 구독자 중 28%만 광고 티어를 구독하고 있어요. Netflix(넷플릭스)와 Disney+(디즈니 플러스) 모두 올해 내로 광고 티어를 출시 하기 위해 관련 비즈니스에 힘주고 있는 상황인데요. 미국내 월 활성 사용자를 고려했을때, 일단 출시되고 나면 피콕의 광고 티어 구..

Trending/플랫폼 2022.06.24

🔊오디오 콘텐츠도 무시 못해요!

미국 성인들이 '디지털 오디오'에 소비하는 시간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라고 해요. 🍳무슨 소식이야? 미국 성인들을 기준으로, 디지털 오디오의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이 올해 약 1시간 40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해요. 전체 미디어 섹터에서 비교해 봐도 디지털 오디오 사용량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하는데요 : 1시간 40분을 기준으로 봤을때 디지털 오디오가 거의 대부분의 타 미디어 사용량을 앞지른다고 하는데요. 여기에는 OTT(1시간27분) / SNS(1시간 15분)도 포함된다고 해요. 전체 미디어 사용량에 있어 올해 디지털 오디오가 약 20.3%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해요. ○○테크스낵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고싶다면?! : 💨테크스낵 뉴스레터 구독하기!

728x90